우주의 신비, 운석을 모으자!
SEYMCHAN운석 아구아스・셀가스 운석 아엔디 운석 리비안 그라스 몰다바이트 기베온 운석 체랴빈스크 운석 NWA5957 Dhofar461운석 다운 그라스 Dhofar19운석 NWA869운석 캄포・델・시에론 운석

Dhofar19운석

- 분류:화성운석 에이콘드라이트
- 발견된 해:2000년01월24일
- 발견된 장소:오만국 도팔 특별행정구
Dhofar19운석에 포함되어읶는 가스를 동위체분석* 이라는 방법으로 자세히 조사한 결과 화성의 대기와 일치하기에 화성으로부터 온 운석이라고 특정 되어 집니다.
전자현미경은 전자를 사용하여 관할하기 때문에 사물의 형태 뿐만이 아니고 원소의 분포를 조사하는 것도 가능 합니다. Dhofar19운석의 원소분포를 조사해보면 감란석(철과 마그네슘)의 입자 주변경계에 사선이 길게(알류미늄과 나트륨)이 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천체전체가 걸쭉하게 녹은 후 최초로 감람석이 되고 그후 틈새에 사선이 길게 생긴 것이라 생각 됩니다.
큰천체가 아니면 이런 구조가 생기지 않습니다.
*원자에는 질량수가 다른것들이 있고, 그것을 원자의 동위체라고 부릅니다.
동위체 분석으로 물질에 포함된 동위체의 존재량을 정밀하게 분석 할 수 있습니다.






전자현미경으로 운석의 표면에 있는 원소분포를 조사한 이미지
*밝게 보일정도로 원소 함유량이 많음.
체랴빈스크 운석

- 분류:돌성질 운석 콘드라이트
- 발견된 해:2013년 2월15일 낙하
- 발견된 장소:러시아연방 체랴빈스크
2013년2월에 러시아에 떨어진 운석으로 둥근입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00배의 이미지로는 운석의 표면에 구멍이 보입니다.운석은 대기권 충돌시에 급격히 녹아 식기때문에 기포가 닫혀버린 상태로 있다고 보여 집니다.
더욱 확대해보면 바늘같은 형태가 보여집니다.
10,000배로는 이부분이 수상모양 (수상결정)으로 되어있는 것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이 수상결정도 대기권 충돌시에 급격한 용융과 냉각결과 생겨난 것으로 생각 됩니다.



아엔디 운석

- 분류:탄소질 콘드라이트 CV3
- 발견된 해:1969년2월8일 낙하
- 발견된 장소:멕시코합중국 치와와주 아엔디 마을
아폴로탐사로 인류가 처음으로 달표면에 첫발을 내딛은 1969년은,남극운석 발견등 운석연구의 대약진이 시작된 해입니다. 아엔디 운석은, 그해2월에 멕시코합중국에 낙하한 유기물이 함유된 운석 입니다. 당시 우주로부터
유기물이 날아온 것은 충격적인 일 이었습니다.
하얀부분은 알루미늄과 칼슘이 풍부한 함유물(CAI:Calcium-aluminium-richin clusion)로, 태양계에서 최고 오래된 입자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 아엔디운석을 처음발견한 CAI의 연구는 지금도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매년 새로운 광물이 발견되어지고 있습니다.


아구아스・셀가스 운석

- 분류:탄소질 콘드라이트 CM2
- 발견된 해:2019년4월23일 떨어짐
- 발견된 장소:코스타리카 공화국 산칼로스주 아구아스・셀가스
유기물이 들어가 있는 운석으로,2018년 소행성탐사기[하야부사]가 도착한 유기물과 함수광물을 함유한 소행성[Ryugu]과,성분이 비슷하다고 전해집니다. 운석속에 포함된 입자는 보통 둥근형태를 하고 있지만, 아구아스 셀가스 운석의 입자에는 가늘고 긴 타원형을 하고 있습니다.
천체의 격한 충돌에의해 변형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SEYMCHAN운석

- 분류:석철운석
- 발견된 해:1967년 발견
- 발견된 장소:러시아연방 마가단주
SEYMCHAN운석은 육안으로도 암석부분과 금속부분이 확실한 석철운석 입니다.
전자현미경은 전자를 사용하여 관찰하기 때문에 사물의 형태뿐만 아니고 원소의 분포를 조사할 수 도 있습니다. 이 석철운석에는 철이랑 마그네슘등 금속의 종류에따라 분포 되어있는 곳으로 치우침이 있습니다.
유황이나 인은 금속속에 포함되어있는 양이 한계가 있어,그양을 넘은 분량은 금속과 금속의틈새에 축적되어 있습니다.






전자현미경으로 운석의 표면에 있는 원소분포를 조사한 이미지
*밝게 보일정도로 원소 함유량이 많음.
기베온 운석

- 분류:철운석 옥타헤드라이트
- 발견된 해:1836년 이전에 발견
- 발견된 장소:나미비아공화국 할다브주 나마그주변
철운석은 표면에 산 에칭*하면,특유의 삼각과 평형사변형의 줄무늬 (위드만슈테텐 구조)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철운석의 성분인 철과 니켈이 녹은 합금을 냉각시키면 통상은 균일한
구성이 됩니다.수백만년 이상 천천히 식어 굳어진 니켈성분이 적은부분 (카마사이트)과,니켈성분이 많은부분(테나이트)으로 나뉘어져 위드만슈테텐 구조가 생성됩니다. 수백만년 걸쳐 식히는것은 인공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철운석의 증거가 됩니다.
가설로, 철운석이 순수한 철이라면 비바람을 맞아 녹슬어서 없어집니다.
니켈이 함유 되어 있기에, 4억년전의 철운석이
지금까지 녹슬지않고 남아 있는 것 입니다.
*산성의 약품으로 표면을 용해시켜 가공하는 기법.
철운석의 니켈성분이 적은장소는 잘녹기 때문에 니켈성분이 많은 부분과 적은 부분의 경계가 분명합니다.


캄포・델・시에론 운석

- 분류:철운석 옥타헤드라이트
- 발견된 해:1576년 이전에 발견
- 발견된 장소:아르헨티나공화국 챠코주
캄포・델・시에로 운석은 4,000~5,000년전에 지구에 낙하하여, 1576년 이전 아르헨티나 공화국에서 발견된 철운석 입니다.
표면을 산 에칭*하지않았기에 철운석 특유의 모양(위드만슈테텐 구조)는 확인 할 수 없습니다.
*산성의 약품으로 표면을 용해시켜 가공하는 기법 철운석 속의 니켈성분이 적은장소는 잘녹기 때문에 니켈성분이 많은 부분과 적은 부분의 경계가 분명합니다.


NWA5957

- 분류:Howardite
- 발견된 해:1836년 발견
- 발견된 장소:모로크왕국
Howardite 는 화성과 목성의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 속해있는 소행성 베스타의 표면에서 온 운석 입니다. 소행성 베스타는 빛이 전혀 없는곳에서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전자현미경 이미지 중심부분에 석영(이산화 규소)의 결정(수정)이 관찰 되어졌습니다.
태고의 지구와 같이 한번 완전히 녹았던 경험이 있고 커다란 천체로부터 날아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자현미경으로 운석의 표면에 있는 원소분포를 조사한 이미지
*밝게 보일정도로 원소 함유량이 많음.
완성했습니다!
축하합니다! 세계속의 운석을 모두 모았습니다.
운석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분석하면 운석의 특징적 구조와 성분을 알 수 있습니다. 우주로부터 지구에 도달한 운석을 알아보는 것은 우주의 기원을 밝힐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습니다.
지금,우주연구 분야에서는 지구에 떨어진 운석을 조사할 뿐만 아니라 우주로부터 멀리떨어진 소행성의 탐사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탐사에 선택된 소행성의 하나가 지구로부터 약3억Km 떨어져있는 소행성 [이토가와]입니다. 2003년 쏘아올린 소행성탐사기[하야부사]는 약200억Km 여행을 마치고 [이토가와]에 도착하여 소행성 표면의 조각을 회수하여 2010년 지구에 돌아 왔습니다.
이토가와 카케라는 지구에 도착한후에 우주공간과 같은 상태로 조사한 결과 특별한 연구시설과 전용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습니다.
히타치하이테크는 이 연구시설과 전자현미경의 개발을 진행하여 귀중한 시료의 연구에 공헌 하였습니다.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운석군의 제공,감수: 牧瀬 貴紀
참고:국제운석학회
(The Meteoritical Society) Search the Meteoritical Bulletin Database
(Last update: 8 Aug 2020); https://www.lpi.usra.edu/meteor/metbull.php
